2024년 10월 3일 대한십팔기협회 회장 이취임식
대한십팔기협회 최기준 전임회장과 신임 협회장 김대우 회장 이취임식
2024년 10월 3일 대한십팔기협회 회장 이취임식
대한십팔기협회 최기준 전임회장과 신임 협회장 김대우 회장 이취임식
2008년 9월. 국제십팔기연맹 출범
유럽지부 (대표 설성 . 스페인), 미국지부(대표 오원규), 중동지부(대표 정소우 . 사우디아라비아) 등
해외에서 활동 중인 십팔기 단체들이 모여 국제십팔기연맹을 결성한다
2008년 1월. 십팔기 회관 건립
십팔기 연수원, 전승관, 양생기공센터 등을 갖춘 ‘십팔기 회관’이 대구에 건립된다.
2005년 12월. 한국무예원 전승관 개관
해범 선생님이 사범들에게 직접 기예를 전수하는 ‘한국무예원 전승관’이 대구에 세워진다.
2004년. 대구지역 의료인 전통무예 십팔기 동우회 결성
대구지역 의사와 약사, 간호사 등 의료인들이 십팔기를 수련하면서, 우리 무예의 우수성과 대체의학으로서의 가능성을 재발견한다.
2002년. 10월 3일 『조선창봉교정』 출간기념 경복궁 발표회
경복궁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조선창봉교정』출간을 기념하여 십팔기 발표회를 가진다.
이후 박물관 측의 요청에 의해 일부 회원들이 시연단을 구성해 정기시연을 한다
『권법요결』(1992) 『본국검』(1995) 『조선창봉교정』(2002) 출간
『무예도보통지 실기해제』에 이어 십팔기 각론서이자 해범 선생님의 무학이 담긴 세 권의 책이 연이어 출간된다
1990년. 겨레사랑무예동우회 발족
대학 동아리 졸업생들과 협회 유단자들이 ‘겨레사랑무예동우회(겨무동)’를 발족시키고 우리무예 지킴이로 나선다
1988년. 한국전통무예 전국대학생연합 발족
서울대학교 문화관에서 ‘한국전통무예 전국대학생연합(한무련)’ 발족식과 제1회 연구발표회를 가진다
1987년. 『무예도보통지 실기해제』 출간과 대학로 ‘바탕골’ 발표회
『무예도보통지 실기해제』(해범 선생님 實演, 심우성 解題) 출간을 기념하여, 해범 선생님과 사범들이
12월 22~23일 서울 대학로 ‘바탕골’ 소극장에서 한국무예 십팔기 발표회를 가진다
1987년. 오금수희법 등 양생기공 보급
해범 선생님이 한국 도가(道家)에서 비전되어 오던 양생기공의 대중화를 위해 북창 선생의
『용호비결』에 수록된 오금수희법(五禽獸戱法) 등을 현대인에 맞게 다듬어 제자들에게 가르친다.
1987년. 한국무예원 부설 동양무예연구소 설립
한국과 중국, 일본 등 동양무예의 비교 연구를 위해 해범 선생님이 동양무예연구소를 설립하고,
『소림간가권』(1988) 『중국도가(화산파) 비전 양생장수술』(1989)을 번역 출간한다.
1986년. 대학 동아리 첫 창단
대구 경북산업대학(현 경일대학)에 십팔기 첫 대학 동아리가 결성된다.
1986년. 신촌 한국무예원 개원
서울 신촌로터리 부근에 한국무예원이 설립된다. 이때부터 서울대, 연세대, 서강대 등 대학가에서
우리무예배우기 운동이 시작된다. 곧이어 한국 무술계와 문화계에도 전통무예 열풍이 일어난다.
1982년. 대구 경북지역에 십팔기 보급
대구 경북지역 무술계에서 해범 선생님께 십팔기 배우기를 간청하여, 해범 선생님이 직접 이들에게
권법과 병장 기예를 전수하기 시작한다.
1981년 8월. ‘사회단체 대한십팔기협회’ 등록
‘사회단체 대한십팔기협회’가 서울시 교육위원회에 등록 허가된다.
당시의 사회단체 등록은 지금의 특허 등록과 같은 법적인 효력을 발휘하였다.
1977년. 대한십팔기협회 설립
해범 선생님이 대한십팔기협회를 설립하고, 무술계와 체육계에 ‘십팔기의 정의와 역사,
협회 설립 취지문’을 배포하여 이를 널리 알린다.
1970년 10월 3일. 십팔기 첫 도장 개원
해범 김광석 선생님이 서울역 옆 동자동에 도장을 열고 제자들에게 무예를 가르치기 시작한다.
대한민국 최초의 십팔기 도장으로서 건물 외벽에는 한글로 쓰인 ‘십팔기’ 간판을 달았다.
Copyright © 2024 대한십팔기협회.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WebSite.co.kr.